관리자PC버전_사원관리

 근로운영설정 I


 

 

 

사원관리 > 근로운영설정

*사원관리 : 기본정보 / 근로운영I / 근로운영II / 4대보험관리

 

메뉴설명

 

근로운영설정


 

근로유형선택

급여박사 프로그램에서 정의하는 근로유형(근로운영패턴)별 근무처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근로유형을 선택하면 사원정보 > 근로운영 II의 근로운영 설정값을 기본값으로 적용처리 하며 세부 근로운영 설정값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근로유형의 적용은 사원개별 적용가능합니다.

 

근로운영패턴 구분/설명

적용할 근로운영패턴 선택

사원관리 → 근로운영 → 근로유형선택으로 반영

근로운영 패턴 구분은 아래와 같으며 패턴별 근태, 급여정산 세부설명은 근태관리를 참고하세요.

 

고정급/연봉제도

연봉 근로계약으로 실무에서 대체로 고정 급여로 처리하는 사원 / 표기값 [Y.A]연봉

 

고정급/포괄급여제도

월급제 근로계약으로 실무에서 대체로 고정 급여로 처리하는 사원 / 표기값 [M.B]월급

 

일반월급제

월급제 근로계약으로 실무에서 기본근로시간 외 수당을 반영하는 사원 / 표기값 [M.B-A]월급

 

시급반영하는 월급제

월급제 근로계약으로 실무에서 기본근로시간 및 수당을 실제 근로시간*시급으로 반영하는 사원 / 표기값 [M.A]월급

 

월급 / 시급 / 단시간

월급제 근로계약으로 실무에서 기본근로시간 및 수당을 실제 근로시간*시급으로 반영하는 주간근로시간이 40시간 미만인 사원 / 표기값 [M.A-A]월급

 

파트 / 시급재

단기간 근로계약으로 기본근로시간 및 수당을 실제 근로시간*시급으로 반영하는 사원 / 표기값 [M.H]월급

 

교대근로제

일정한 교대근로 패턴 형태로 운영하는 교대근로 및 기본급을 포괄방식으로 반영하는 사원 / 표기값 [M.K-A]월급

 

근무시간이 불규칙한 사원

근무시간이 불규칙하게 운영되는 사원(근태관리를 위하여 구분)  / 표기값 [M.J]월급

 

사업소득자/프리랜서

원천징수를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사원  / 표기값 [B.A]사업

 

일용근로사원

원천징수를 일용소득으로 신고하는 사원  / 표기값 [D.A]일용

 

외 근로운영패턴 등록 설정은 급여박사 팀으로 문의해주세요~

 

근로유형 적용 처리 예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근로유형(근로운영패턴)별 근무처리 예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사원별 세부 근로조건은 사원관리 > 근로운영 II 설정값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처리는 가능하지만 근로운영패턴 항목 값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셋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예를 들어 [M.B]월급의 경우에는 사원관리 > 근로운영에서 정한 고정급을 반영하는 타입입니다.
  • 이 타입을 근로운영 II 에서 실제근로시간 적용 조건으로 변경처리 하면 혼선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세부 근로유형별 근무처리는 근태관리 텝에서 상세하게 설명 합니다.    근로유형별 근무처리적용 상세보기

 

 

근로계약기간

사원의 근로계약기간을 선택합니다. 이 항목은 근로계약서에 자동 적용처리 합니다.

 

 

  • 기한을 정하지 않는 근로계약
  • 기간제 근로계약
  • 근로계약 기간을 1개월에서 12개월 단위로 선택합니다.

 

담당업무

사원의 근로계약서 작성에 필수항목인 담당업무를 구체적으로 입력 합니다.

해당 입력 폼은 자동 입력 기능을 지원하여 기존 입력했던 업무 내용의 초성을 입력 하면 자동 입력처리 합니다.

 

 

급여박사 근로계약서를 이용하는 고객사는 담당업무를 꼭! 작성하시기바랍니다. 노동청 단골 지적사항입니다.

 

*근로계약서 호출문구 [?담당업무] > 홍길동 사원의 담당업무는 업무총괄및 경영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주간근무설정


 

주간근무설정

주간근무 및 요일별 근무설정은 1주간 근무설정으로 월정집계처리를 자동으로 지원하며 사원의 소정근로시간을 정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근무일 / 근무시간 / 휴게시간을 효과적으로 입력관리하면 자동 근무처리 정산에 도움이 됩니다.

 

 

 

1. 근무일 설정

주간근무 설정과 요일별근무설정을 이용하여 근무일을 정합니다.

주간근무 설정일은 정상근무일로 적용

 

  • 회사기본적용 : 회사설정에서 회사기본조건으로 설정값을 적용합니다.
  • 근무일 체크 박스 ▣ : 주간근무설정에서 체크박스는 근무시간이 같은 요일을 체크합니다. 체크한 요일은 아래 근무시간 및 휴게시간을 적용합니다.
  • 근무코드 : 근무시간의 입력방법으로 근무시간을 코드값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근무코드값으로 입력한 경우에는 사원관리에서 근무시간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회사 환경설정 > 근무코드등록 링크를 참조바랍니다.     근무코드등록 바로가기

 

  • 주휴일 : 주간근무설정에서 주휴일을 선택합니다. 주휴일의 운영방법은 아래 설명을 참조하세요

 

 

 

 

 

*주휴일을 선택안함으로 입력하는 예는 근무일이 불규칙한 사원에게 적용하며 주간 모든 근무요일을 정상근무로 입력 후 월반복에서 휴무 처리합니다. 

요일별근무 탭 입력방법 참조!

 

*주휴일을 발생제외하는 경우 주휴적용 체크버튼을 체크해제합니다.

주휴일 체크해제 시에는 주휴일을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2. 근무시간 설정

주간근무 설정과 요일별근무설정을 이용하여 근무시간을 입력합니다.

 

근무시간 입력 방법

  • 시간입력방법

A타입  /  시간+분을 연속해서 입력하는 방법

1230 → 12:30 표기
 

B타입  / 60분을 4등분해서 입력하는 방법

18.5 → 18:30  표기 (15분을 0.25단위로 입력)

9.25 → 09:15 표기

 

급여박사 프로그램에서 근무/근로 시간 정의!

근무시간 : 1일 전체 근무하는 시간

근로시간 : 근무시간에서 휴게시간을 제외한 실제 근무(근로시간)으로 정의합니다. 

 

  • 시업/종업/휴게시간을 입력하면 근로시간을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휴게시간설정

  • 휴게시간 및 휴게구분을 설정합니다.

주간근무시간 이후 초과근로가 있는 경우 적용할 휴게시간을 입력합니다.

 

*주간: 09:00~18:00 > 초과근로 사이 18:00~19:00  저녁 휴게시간을 입력해두면 실제 근태시간을 반영하여 근로시간을 산출합니다.

 

 

 

 

  • 휴게시간을 특근으로 개별 적용하는 경우 휴게구분 처리는 포함값으로 선택 시 적용합니다.

 

  • 휴게시간 구분처리 : 근로시간에서 휴게시간을 차감하려면 제외합니다.
  • 휴게특근 : 근로시간에서 휴게시간을 차감하고 휴게시간을 개별 가산율을 적용하는 경우 특근가산값을 설정합니다.

 

 

  요일별근무설정


 

요일별근무설정

 

요일별 근무설정에서는 주간 근무일과 근무시간이 다른 요일의 근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일별 근무설정에는 주간근무일에서는 설정하지 않는 근무구분, 월반복을 설정하여 월정 근로시간을 자동 집계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근무일 / 근무시간 / 휴게시간을 효과적으로 입력관리하면 자동 근무처리 정산에 도움이 됩니다.

 

 

주간근무 설정일은 정상근무일로 적용되며, 요일별근무설정에서는 근로구분을 개별 설정해야 합니다.

  • 주간근무에서 체크하지 않은 나머지 요일의 근무설정을 입력합니다.
  • 요일별근무일을 선택하고 근무코드, 근로구분, 월반복을 설정합니다.
  • 주휴일은 주간근무에서 설정 가능하며 요일별근무에서 수정할 수 없습니다.
  • 근무코드를 OFF(휴무일)을 선택하는 경우 월반복은 휴무로 고정됩니다.
  • 근무코드를 이용하는 경우 근무시간 설정은 우측상단 환경설정 >> 근무코드 설정에서 가능합니다.
  • 근무코드를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값으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 값은 근무스케줄러에서 반영하지 않습니다.
  • 나머지 근무일(토요일)의 근무일을 체크한 후 근무시간을 입력합니다. 근무코드 설정값을 적용하려면 근무코드를 선택합니다.
  • 요일별 근무구분은 근태관리에서 근무처리 항목으로 반영되며 근무처리 별로 근로시간 집계를 자동으로 정산처리합니다
  • "정상근무"와 "무급휴무" 설정 시 근무처리는 아래 설명을 참조하기기 바랍니다. 

 

정상근무 vs  무급휴일 주휴발생

 

예를 들면 월~금요일(평일)까지 주간근무일이고 일요일을 주휴일로 운영하는 경우 토요일의 근무처리를 "정상근무" 또는 "무급휴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토요일을 "정상근무"일로 설정하는 경우는 토요일 근무를 주간근무일(평일)과 같은 성격의 근무일인 경우 "정상근무"로 설정합니다.

  적용예시) 평일 중 1일을 휴무하고 토요일 근무시 평일의 대체근무 성격으로 토요일 근무일에서 주휴시간 및 연차휴가를 적용처리 합니다.  

 

토요일을 "무급휴일"일로 설정하는 경우는 토요일 근무를 주간근무일(평일)과 다른 성격의 근무일인 경우 "무급휴일"로 설정합니다.

  적용예시) 평일 중 1일을 휴무하고 토요일 근무시 평일근무와 다른 성격으로 토요일 근무일에서 주휴시간 및 연차휴가를 적용처리 하지 않습니다.

 

요일별 근무일 설정시 해당일자 주휴시간 발생 및 연차휴가 적용처리에 따라 근무설정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